Skip to main content

상세 결과

이전 결과로 돌아가기

English-Corean dictionary :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 / by James Scott.

Scott, James, 1850-1920.

서지정보

서명 English-Corean dictionary :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 / by James Scott.
편저자 Scott, James, 1850-1920.
판사항 -
발행사항 Corea :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1891.
형태사항 xxvi, 345 p. ; 25 cm.
언어 영어 (eng)
주제 Korean language--Dictionaries.
 

해제

본문
언더우드의 『영한사전』(1890)에 이어 출간된 두 번째 영한사전이다. 본서를 발행한성공회 출판부는 서울 낙동에 자리했던 활판소로 영어와 한문, 한글 세 가지 언어로인쇄 출판이 가능한 곳이었다. 본 사전은 저자가 4년 전에 출간한 『언문말책』의 후속작업이자 자매 편이라고도 할 수 있다. [2025년 서양 고문헌 특별전] 영국 출신 외교관 제임스 스코트(James Scott)가 편찬한 영한대역사전. 1891년에 성공회출판부(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에서 발행하였으며, 언더우드의 『영한사전』(1890)에 이어 출간된 두 번째 영한사전이다. 본 도서를 발행한 성공회 출판부는 서울 낙동에 자리했던 활판소로 배재학당 내에 설치된 감리교회의 삼문출판사(The Trilingual Press)와 더불어 영어와 한문, 한글 세 가지 언어로 인쇄 출판이 가능한 곳이었으며, 활자도 자체 개발하여 일본에서 주조한 것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1884년부터 1892년까지 애스턴(William G. Aston)과 더불어 인천 부영사로 조선에 체류하였는데, 서양인으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에 자신이 겪었던 어려움을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 및 사전의 출간 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 사전은 그가 1887년에 편찬ㆍ출간한 『언문말(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Introductory Grammar)』의 후속 작업이자 자매 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저자가 편찬한 한국어 학습 시리즈의 전편에 해당하는 『언문말』은 한국인과의 대화를 위한 회화 학습서였지만 전반부에서 한국어 문법을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고 있었다. 본 도서 역시 본질은 사전이지만, 한국어에 관한 대략적인 소개와 문법 등이 정리되어 있다. 총 384쪽에 달하는 분량인데, 그중 26쪽은 서문과 한국어 소개에 할애하였다. 서문에서는 사전 편찬의 어려움, 그리고 편찬 방법 등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어지는 한국어 소개 부분은 한국인의 문자 생활에 대한 역사적 개관, 자음·모음·이중모음 등의 음운론과 동사·형용사 등의 문법 및 한국어의 언어학적 계통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사전은 1880년에 출간된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불뎐』, 1890년에 출간된 언더우드의 『한영자뎐』과 더불어 게일이 1897년에 편찬ㆍ출간한 『한영뎐(Korean-English Dictionary)』의 기초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온라인으로 Hathi trust에서 전문을 열람할 수 있지만, 서문과 한국어 소개 부분 일부가 누락된 상태이다.

아이템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권호사항 이용현황
10100288956 일사 423.1 Eo57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개인문고) 이용가능
10200148734 일사 423.1 Sco85e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개인문고) 이용가능
11000012257 G162 1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서양서) 이용가능
11000049381 G162 1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서양서)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