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상세 결과

이전 결과로 돌아가기

語文論叢 / 京城帝國大學文學會 編.

서지정보

서명 語文論叢 / 京城帝國大學文學會 編.
편저자 Keijō Teikoku Daigaku. Bugakkai.
판사항 -
발행사항 東京 : 岩波書店, 昭和14[1939]
형태사항 321, 6 p. ; 23 cm.
총서명 Keijō Teikoku Daigaku Bungakukai ronsan ; 8.; Keijō teikoku daigaku bungaku kaironsan.
언어 일본어 (jpn)
설명주기
경성제국대학문학회(이하, 문학회)가 1939년 2월에 간행한 연구논문집이다. 권호에서 알 수 있듯이 1934년 문학회가 출범한 이후 발행된 ‘논찬(論纂)’ 중에서 여덟 번째이다. 동일한 시기에 경성제대법문학회(이하, 법문학회)로부터 분리, 독립했던 경성제대법학회(이하, 법학회)가 연구논문집을 ‘논집(論集)’으로 명명하고 법문학회 시절 간행되었던 ‘제1부논집’의 연속선상에서 번호를 붙인 것에 반해, 문학회는 법문학회 시절 5집까지 나왔던 ‘제2부논찬’과 별도로 제1집으로 새로 번호를 부여했다. 따라서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법학회논집과 명칭뿐 아니라 권호를 달리한다. 책의 말미에 수록된 「경성제국대학문학회의 조직과 사업」에 따르면, 대체적인 조직의 형태 및 목적은 이전의 법문학회, 독립된 법학회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논찬의 간행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 약간의 차별점이다. 즉, 이 단체는 “철학, 사학, 문학에 관한 제 문제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년 논찬을 간행”하며, 이 “논찬은 가능하면 같은 종류의 학과, 유사한 문제 아래에서 각 책을 묶어내는 식으로 편집”된다는 것이다. 법학계열에 비해 훨씬 분과학문이 세분화되어 있고, 또한 각 분과학문마다 독립된 연구실을 구축하고 있는 법문학부 문과계의 상황을 고려한 결정으로 추측된다. 논찬은 대체로 매년 출간되었지만, 경성제대가 창립 10주년을 맞은 1936년에 철학편, 사학편, 문학편, 총 3권의 논찬이 간행되었기 때문에 1937년 한 해는 건너뛰었다. 이 7집부터 출판사가 바뀌었는데, 이 책은 이와나미 쇼텐(岩波書店)이 두 번째로 간행했던 문학회논찬이라고 하겠다. 순서에 따라, 이번 책은 어학, 문학 계열 연구자들의 글이 수록되었고 따라서 제목도 논찬과는 별도로 “어문논총(語文論叢)”이라고 붙었다. 책임편집은 출간 직후 같은 해 “외국어학제2강좌” 교수로 취임하는 영어학자 나카지마 후미오(中島文雄)가 맡았다. 모두 5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교쿠테이 바킨의 저술생활과 사상의 경향(曲亭馬琴の著述生活と思想の傾向)」은 에도시대 후기의 요미혼 작가였던 쿄쿠데이 바킨에 주목하여 그의 저술활동 및 사유의 경향을 분석한 논문으로 1939년 다카키 이치노스케(高木市之助)의 뒤를 이어 “국어학국문학 제1강좌”의 교수로 취임하게 되는 아소 이소지(麻生磯次)가 필자이다, 그는 식민지에 건너 온 이후에도 ‘요미혼’이라는 대중적이고 오락성이 강한 장르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문학회논찬에 발표한 그의 논문들은 1944년 그가 도쿄제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기반이 되었다. 곧 경성제대에서 퇴임하게 되는 다카하시 도루(高橋亨)는 이 책에 「조선의 유모어(朝鮮のユーモア)」라는 글을 게재한다. 엄밀한 학적 논문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에세이로, 조선인의 민성(民性)에 대한 그의 식민주의적 감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외국어학제1강좌”를 맡았던 영문학자 사토 키요시(佐藤淸)이 쓴 「키츠의 특징(キーツの特徵)」이라는 논문은 영국 낭만주의 시인 존 키츠(John Keats)의 작품에 대한 분석한 것으로, 1936년 문학회논찬 제6집에 수록된 「키츠(キーツ)」의 후속 연구에 해당한다. 그 밖에 언어학자들이 쓴 글이 2편 수록되었는데, “국어학국문학제2강좌” 교수였던 일본어학자 도키에다 모토키(時枝誠記)는 「경어법 및 경사법 연구(敬語法及び敬辭法の硏究)」에서 일본어 경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으며, 책임편집을 맡았던 영어학자 나카지마 후미오는 「간투사의 의미론적 고찰(間投詞の意味論的考察)」에서 영어 감탄사의 의미 문제를 다룬다.

아이템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권호사항 이용현황
01500001459 495.604 N131g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DDC) 이용가능
02300011570 895.604 N145g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DDC) 이용가능
10100757546 심악 895.604 N145g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개인문고) 이용가능
10900218463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
10900218464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
10900218465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
10900218466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
10900218467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
10900276250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
10900276805 3000 60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