御纂周易折中. 卷1-22
서지정보
서명 | 御纂周易折中. 卷1-22 |
---|---|
편저자 |
Li, Guangdi, 1642-1718 |
판사항 | 木板本(中國) |
발행사항 | [刊地未詳] : 刊者未詳 [1715년 序] |
형태사항 | 22卷10冊1匣 : 揷圖.四周雙邊 半郭 21.8 x 15.0 cm, 有界, 半葉 大字8行18字 小字16行21字, 花口, 上下向黑魚尾 ; 29.2 x 19.0 cm |
언어 | 중국어 (chi) |
일반주기 | 序: 聖祖, 康熙五十四年(1715). |
소장본주기 | 印文: 唐城后人, 洪淳馨字汝聞之章, 妙寂山房, 達城, 徐浩修氏, 養直, 京城帝國大學圖書章. |
주제 | 經部--易類; 周易折中--李光地 |
해제
본문 |
■ 청(淸) 이광지(李光地, 1642-1718) 등이 강희제(康熙帝)의 칙명을 받아 편찬한 《주역(周易)》의 주석서이다. ■ 총재관 이광지는 복건(福建) 안계(安溪) 사람으로 자는 진경(晉卿)이고 호는 용촌(榕村)·후암(厚菴)이다. 1670년에 진사(進士)가 되었다. 문연각 대학사(文淵閣大學士)·이부상서 등을 역임하였다. ■ 본 문헌은 22권 10책이다. 제1책 앞에 강희제의 서문과 편찬에 참여한 인물의 명단인 직명(職名), 그리고 인용성씨(引用姓氏), 범례(凡例), 목록(目錄)이 있다. 이어 〈어찬주역절중권수(御纂周易折中卷首)〉에는 역(易)에 대한 제가(諸家)의 논술을 주제별로 모은 강령(綱領)이 세 편 있다. 이어서 〈의례(義例)〉가 있다. 본문은 경문(經文)을 대자(大字)로 쓰고 다음 줄부터 주석을 소자(小字)로 제시하였는데, 주희(朱熹)의 ‘본의(本義)’, 정이(程頤)의 ‘정전(程傳)’, 제가의 ‘집설(集說)’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각 괘의 끝에는 ‘총론(總論)’이 있고, ‘안(案)’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다. 서문에 하도낙서(河圖洛書)로부터 여러 유자(儒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설을 절충[折中]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범례에 주자(朱子)의 학설을 위주로 해야 하며, 《역》은 근본이 상수(象數)에 관한 것이므로 의리(義理)와 상수에 대한 제가의 학설을 주자에게서 절충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다. 제1-4권은 상경(上經), 제5-8권은 하경(下經), 제9-10권은 단전(彖傳), 제11-12권은 상전(象傳), 제13-15권은 계사전(繫辭傳), 제16권은 문언전(文言傳), 제17권은 설괘전(說卦傳), 제18권은 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제19-20권은 계몽(啓蒙), 제21권은 계몽부론(啓蒙附論), 제22권은 서괘잡괘명의(序卦雜卦明義)이다. 《계몽》은 주희의 저술이고, 《계몽부론》과 《서괘잡괘명의》는 강희제가 덧붙인 논설이다. 본문에는 표점(標點)이 인쇄되어 있다. 장서인은 직명 첫 장에 ‘唐城后人’·‘洪淳馨字汝聞之章’이, 제1책 마지막 장에 ‘妙寂山房’이 찍혀 있는데, 모두 홍순형(洪淳馨, 1858-1934)의 것이다. 또한 제6책 첫 장에 ‘達城’·‘徐浩修氏’·‘養直’이 찍혀 있는데, 서호수(徐浩修, 1736-1799)의 것이다. 한편 강희제의 서문 끝에는 ‘乾坤體元主人’과 ‘稽古右文之章’이라는 강희제의 인장이 붉은색으로 인쇄되어 있다. 이본의 서울대학교 소장 현황은 다음과 같다. 《御纂周易折中》(1322 17複)과 동판본이다. 《御纂周易折中》(1322 17A)은 제7-8권과 제11-12권의 4권 3책만 남아 있는 영본으로, 복각본으로 추정된다. 《御纂周易折中》(181.111 Y98y)은 5책만 남아 있는 영본으로, 간행 경위가 상세하지 않은 목판본이다. 《(欽定)五經彙纂》(1321 14)은 《어찬주역절중》 등 오경(五經)의 주석서를 모아서 상해(上海) 점석재(點石齋)에서 1888년에 석인(石印)한 것이다. 한편 규장각 소장 《御纂周易折中》(奎25009, 奎中2645, 奎中2646, 奎中2647)과 동판본이다. 《御纂五經》(奎中5722)은 상해 점석재에서 석인한 것이다. <이준영>
|
---|
아이템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권호사항 | 이용현황 |
---|---|---|---|---|
10900093214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1 | 이용가능 |
10900105788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1 | 이용가능 |
10900093215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2 | 이용가능 |
10900105789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2 | 이용가능 |
10900093216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3 | 이용가능 |
10900105790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3 | 이용가능 |
10900093217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4 | 이용가능 |
10900105791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4 | 이용가능 |
10900093218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5 | 이용가능 |
10900105792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5 | 이용가능 |
10900093219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6 | 이용가능 |
10900105793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6 | 이용가능 |
10900093220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7 | 이용가능 |
10900105794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7 | 이용가능 |
10900093221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8 | 이용가능 |
10900105795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8 | 이용가능 |
10900093222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9 | 이용가능 |
10900105796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9 | 이용가능 |
10900093223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10 | 이용가능 |
10900105797 | 1322 17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10 | 이용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