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상세 결과

이전 결과로 돌아가기

御堂關白記 : 附錄 / 藤原道長 自筆.

Fujiwara, Michinaga, 966-1027.

서지정보

서명 御堂關白記 : 附錄 / 藤原道長 自筆.
편저자 Fujiwara, Michinaga, 966-1027.
판사항 寫眞版.
발행사항 京都 : 立命館大學出版部, 昭和11[1936]
형태사항 439, 2 p. ; 35 cm.
언어 일본어 (jpn)
내용주기 解說 / 黑板勝美 ; 活字本 / 黑板勝美 校.
일반주기 原本. 近衛公爵家所藏.
 

해제

본문
후지와라노 미치나가(藤原道長)가 자신이 소유한 구주력(具注曆)에 자필로 기재한 일기 원본 14권은 현재도 미치나가의 후예인 고노에(近衛) 가문의 요메이 문고(陽明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책들은 바로 미치나가의 일기 자필본을 복제하여 출판한 것이다. 단, 현재 14권의 두루마리 중에서 11번째 두루마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책의 간행은 1936년 리쓰메이칸 대학(立命館大學) 창립 35주년을 맞이한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대책자의 서두에 실린 리쓰메이칸 총장 나카가와 고주로(中川小十郞)의 ‘서(序)’에 따르면, ‘우리나라(일본) 고기록 중 가장 저명한 고노에 공작 가문에 물려져 소장되어 온 국보 미도칸파쿠키의 복제와 그 교감(校勘)을 기획’하고, 공작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의 허락을 받아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때 당시 도쿄제국대학 명예교수였던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와 교토제국대학 교수 니시다 나오지로(西田直二郞)의 찬동을 얻어, 해당 일기에 대한 활자본 제작 및 교감은 구로이타 가쓰미가 맡게 되었다. 대책자는 구로이타 가쓰미가 1936년 10월에 집필한 『미도칸파쿠키』의 해설과 원문을 활자화한 교감본, 그리고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연보와 약식 계보도가 수록되어 있다. 활자본의 경우, 원본이 달력 위에 일기를 기록한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달력 문장은 명조체 한자로, 미치나가 본인이 직접 쓴 글씨에 해당하는 문장은 청조체 한자로 인쇄하여 구분하였다. 범례에 따르면 활자본 교정에는 다야마 노부오(田山信郞), 마루야마 지로(丸山二郞), 아이다 니로(相田二郞), 요시무라 시게키(吉村茂樹)가 참여하였다. 표지에 적혀 있는 글자 및 대책자의 목차와 해설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각각의 복제 두루마리들의 연도는 다음과 같다. (1) 조토쿠(長德) 4년(998) 달력 하권. 가을·겨울(7월~12월) (2) 조토쿠(長德) 5년(999) 가을·겨울(7월~12월). 조호(長保) 원년으로 개원 (표지에는 조토쿠 5년이 4년으로 잘못 적힘) (3) 조호(長保) 2년(1000) 봄·여름(1월~6월) (4) 조호(長保) 6년(1004) 봄·여름(1월~6월) (5) 간코(寬弘) 2년(1005) 봄·여름(1월~6월) (6) 간코(寬弘) 4년(1007) 가을·겨울(7월~12월) (7) 간코(寬弘) 5년(1008) 가을·겨울(7월~12월). 뒷면에 노부타다(信尹)의 필적이 있음 (8) 간코(寬弘) 6년(1009) 가을·겨울(7월~12월) (9) 간코(寬弘) 7년(1010) 달력 봄·여름(1월~6월). ‘6월까지’라는 쪽지가 붙어 있음 (10) 간코(寬弘) 8년(1011) 봄·여름(1월~6월) (11) (고문헌자료실에 소장되어 있지 않음) 간코(寬弘) 9년(1012) 봄·여름(1월~6월) (12) 간닌(寬仁) 2년(1018) 봄·여름(1월~6월) (13) 간닌(寬仁) 3년(1019) 가을·겨울(7월~12월). 8월 하순부터 9월까지 9일간만 기사 있음 (14) 간닌(寬仁) 4년(1020) 달력 상권. 봄·여름(1월~6월)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에서 만나는 일본 고중세사 자료(2022)

아이템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권호사항 이용현황
10900192466 大 4140 22x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