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増補正訓)日本書紀通釋 / 飯田武鄕 著.
서지정보
서명 | (増補正訓)日本書紀通釋 / 飯田武鄕 著. |
---|---|
편저자 |
Iida, Takesato, 1828-1900. |
판사항 | - |
발행사항 | 東京 : 日本書紀通釋刊行會, 昭和15[1940] |
형태사항 | 5 v. : ill. ; 23 cm |
언어 | 일본어 (jpn) |
내용주기 | 第1. 卷之1~13 -- 第2. 卷之14~27 -- 第3. 卷之28~41 -- 第4. 卷之42~55 -- 第5. 卷之56~70. |
일반주기 | "皇紀二千六百年記念出版" |
주제 | Nihon shoki.; Japan--History--To 645.; Mythology, Japanese. |
해제
본문 |
이다 다케사토(飯田武鄕)의 『일본서기통석』(청구번호 4130 2 1~5; 4130 2 S)을 아들 이다 스에하루(飯田季治)가 다시 간행한 책이다. 속표지에는 ‘황기(皇紀) 2600년’을 기념하여 출판한 것으로 적혀 있다. 『일본서기통석』의 내용 자체는 구판과 동일하지만 제1권과 제2권에 스에하루가 지은 「정훈 일본서기(正訓日本書紀)」가 추가되어 있다. 「정훈 일본서기」의 해제에 따르면, 『일본서기』는 모두 한문으로 적혀 있지만 읽을 때는 『고사기(古事記)』, 『만요슈(萬葉集)』와 마찬가지로 일본어로 훈을 달아서 읽으며, 편찬자도 그 독법을 본문 중에 주를 달기도 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옛날 독음은 대부분 산일되었고, 멋대로 음독(音讀)을 달아 원래 의미로부터 멀어지고 해석도 달라진 부분이 적지 않다고 한다. 다케사토도 이를 유감스럽게 여겨 『일본서기』 전문을 옛 훈법대로 읽는 「정훈 일본서기」를 편찬하려고 하였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므로, 그 아들 스에하루가 뒤를 이어 옛 훈점과 독음, 독법을 섭렵하여 전권에 올바른 독음을 달고 이를 증보하였다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에서 만나는 일본 고중세사 자료(2022)
|
---|
아이템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권호사항 | 이용현황 |
---|---|---|---|---|
10900239278 | 4130 2A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1 | 이용가능 |
10900239279 | 4130 2A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2 | 이용가능 |
10900239280 | 4130 2A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3 | 이용가능 |
10900239281 | 4130 2A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4 | 이용가능 |
10900241507 | 4130 2A |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구장본 동양서) | 5 | 이용가능 |